이동 삭제 역사 ACL 클라우드 스토리지 (r1 편집) [오류!]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[목차] == 개요 ==클라우드 스토리지란, 데이터 스토리지를 서비스로 관리하는 공급자를 통해 각종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는 기술입니다. 개인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기기와 수단은 점점 늘어가고 있으며, 한 사람이 두개, 세개 이상의 단말기를 가지는 일도 일상적인 일이 되었기에 자신의 어떤 기기에서든 볼 수 있는 저장소로서 만들어졌습니다. 외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것은 물론이며, 웹 서비스나 API를 이용해 앱을 사용해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관리하고 언제든 자료를 옮길 수 있다는것이 일반적인 저장매체와의 차이점 입니다. 수많은 방식의 클라우드 스토리지가 있으며, 서비스 정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과 이용 방식, 제공되는 용량과 대역폭이 각각 갈리므로 만약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사용하시려 하실 경우, 어떤 서비스를 이용하실 지 신중한 고민을 하신 뒤 결정 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.== 장점 ==당신이 어떤 기기에서 접속을 하든, 네트워크에 연결만 되어 있다면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해 원하는 데이터를 열람하고 수정 할 수 있습니다. VR 기기, 스마트폰, 태블릿 PC, 노트북 같이 자신이 원하는 기기에서 소유한 데이터에 편하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은, 다른 오프라인 저장 매체와 쉽게 비교가 불가능한 장점입니다. 집에서 온라인으로 문서를 수정하고, 물리적으로 데이터가 담긴 저장매체를 가지고 갈 필요 없이 회사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해 문서를 바로 인쇄할 수 있는 것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.== 단점 ==클라우드 스토리지의 단점은 대부분 '''저장매체를 본인이 소유하지 않는 것'''에서 기인합니다.=== 불안정성 ===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이용자 본인의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아닌,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. 이는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의 데이터가 담긴 저장장치를 잘못 관리하거나, 고의로 연결을 끊는다면 사용자는 데이터에 접근 할 수 없게 되어버립니다. 물론 이런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는 흔치 않으나, 영세한 업체에서 운영하는 서비스의 경우 사례가 꽤 많기에 유의해야 할 점입니다.=== 데이터의 유출 가능성 ===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공급자의 서버에 데이터를 올리는 특성 상, 서비스 공급자가 데이터에 마음대로 접근 할 수 있습니다. 사용자는 서비스 공급자가 데이터에 접근하더라도 이를 알아챌 수 있는 수단이 없기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늘 유의 해야 합니다.[* 데이터를 암호화 해 업로드하거나, 쉽게 읽을 수 없도록 만들어 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]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,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-NC-SA 2.0 KR에 따라 배포되며,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. 또한,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.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3.139.64.23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 저장